지난 번 구축했던 로키리눅스에 NTP,DNS,DHCP 를 설치 해 보겠습니다.(DNS와 DHCP는 순차적으로 다루겠습니다.)
1.SELinux 비활성화
이번 테스트에서는 SELinux를 비활성화 하고 진행하겠습니다. 끄고 진행하는게 불필요한 트러블슈팅을 줄일 수 있습니다. 해당 작업은 모든 서버에서 실행해 주세요. 작업은 cli환경에서 진행 됩니다.
(1) vi /etc/selinux/config 를 입력하여 selinux 의 config파일에 들어갑니다.
(2) SELINUX=enforcing 을 SELINUX=disabled 로 변경합니다.(vi 에디터는 i를 입력 시 insert 모드가 되어 내용 변경이 가능합니다.)
(3) 내용을 저장하고 리부팅 합니다. (Esc를 누른 후 :wp를 입력하면 변경한 내용이 저장되고 reboot 입력 시 서버가 재부팅 됩니다.)

2. NTP 서버 구축
NTP 관련 데몬은 로키리눅스를 최소 설치를 하여도 기본 설치 되어 있습니다.
rpm -qa | grep chrony

이제 ntp 설정을 변경하여 ntp 서버로 지정하겠습니다.
chrony.conf 파일을 vi 로 열어 줍니다 vi /etc/chrony.conf

pool 2.rocky.pool.ntp.org iburst 를 주석 처리하고 (앞에 #을 붙입니다.)
server 0.kr.pool.ntp.org iburst
server 1.kr.pool.ntp.org iburst
server 1.asia.pool.ntp.org iburst

허용 ip 설정
# allow 192.168.0.0/16 -> allow 0.0.0.0/0 으로 변경

동기화 할 상위 ntp 서버를 stratum 레벨을 3을 지정
local stratum 3

:wp (저장)
변경 후 systemctl restart chronyd
시간을 잘 받아오는지 확인하기 위해 타임존을 한국으로 변경
timedatectl status
timedatectl set-timezone Asia/Seoul
timedatectl status

ntp 소스 확인
chronyc sources -v

이로써 구성에 사용 할 ntp 서버 구축이 완료되었습니다.
3.ntp 서버 확인
이제 다른 서버에서 구축된 ntp서버에서 정상적으로 시간을 받아 가는지 확인하겠습니다.
vi /etc/chrony.conf
# pool 2.rocky.pool.ntp.org iburst ##주석처리
server 10.100.100.10 iburst ##추가

수정 후 chrony 재시작 및 ntp 소스 확인, 타임존 변경 후 시간 확인
systemctl restart chronyd
timedatectl status
timedatectl set-timezone Asia/Seoul
timedatectl status
